부하역률 개선 및 전압강하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전력용 콘덴서의 일상 점검 그리고 정밀 점검과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사고 발생 조치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기술한다.
◈. 전력용콘덴서 점검 및 이상발생 시의 조치방법?
구분 | 항목 | 점검방법 | 판정기준 | 이상내용 | 조치방법 |
일상점검 | 누유 | 육안 식별 및 소리로 구분한다. | 기름새는 곳이 없어야 하며 특히 용접부, 부싱부위를 세심히 살피고 볼펜등으로 콘덴서 상부를 두들겨 유부족 여부를 확인한다. 누유가 없을 것. |
누유 | 누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 수지 에폭시등의 도포로 현장수리가 가능하며 정도가 심한경우 메이커에 수거 후 조치 또는 상황에 따라 신품으로 교환한다. |
케이스 팽창 | 육안식별 및 측정 | 콘덴서케이스 팽창정도는 평균 편측 15mm 이하가 돼야 하며 용량별 케이스 팽창한도는 아래와 같다. 10 ~ 30kvar = 8 ~ 10mm. 40 ~ 50kvar = 10 ~ 20mm. 75 ~ 150kvar = 10 ~ 25mm. 200 ~ 500kvar = 15 ~ 30mm. |
케이스 이상변형 | 운전을 정지하고 냉각해도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정하여 정전용량을 측정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을 경우 엔 제조사에 조치의뢰하여 확인한다. |
|
케이스의 녹 발생 및 도장 벗겨짐 | 육안 식별 | 녹 발생 및 도장벗겨짐이 없을 것. 특히 용접부, 받침대, 취부족 등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
녹 발생 및 도장 벗겨짐 | 녹을 제거하고 새로이 도장을 한다. 재 도장시 부싱부에 페인트가 묻어 절연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한다. |
|
애자 상태 | 육안 식별 | 이물질이 심하게 부착되어 있지 말아야 하며 충격등에 의한 균열이 없어야한다. | 오손 | 애자를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하고 균열된애자는 제조사에 수리한다. | |
Cable 접속 부 | 열화상 카메라 육안 식별 | 접속부의 과열이 없어야 하며 사용 중 충격에 의한 볼트풀림이 없을 것. | 과열 및 풀림 | 단단히 조여주고 점검된 볼트에 대해선 마킹을 실시한다. | |
절연저항 | 절연저항계 | 저압 = DC 1000 V 에서 500㏁ 이상. 고압 = DC 1000V 에서 1000㏁ 이상. |
절연저하 | 신품으로 교체한다. | |
회로 전압 | 전압계 | 최고 전압이 KS 규정치 이내여야 한다. 정격의 110% ; 24시간 중 12시간 이내. 저압은 8시간 이내. 정격의 115% ; 24시간 중 30분 이내. 정격의 120% ; 1개월 중 5분 이내가 2회 이하. 특히 회로전압 상승(과진상, 변압기 탭) 보다 직렬 리액터에 의한 전압 상승에 주의가 필요하다. L= 6% ; 106.38% / L=13% ; 114.9%. |
과전압에 의한 유전체 절연파괴 고장 확대. | 진상운전에 대한 대책으로 야간 경, 무부하시 콘덴서 개방이 필요하므로 A P F C System을 구축한다.
부하말단 적정전압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변압기 탭을 올려 사용 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엔 콘덴서 정격전압을 상승시켜 사용한다. |
|
전류 | V-Meter 또는 클램프메타사용, 때에 따라서 전력분석기를 사용 고조파 측정. | 최대 전류가 KS 규정치 이내여야 한다. 정격전류에 대해 130%이하일 것. 상 전류 불평형은 최대/최소비가 108% 이하일 것. |
계전기 동작. 차단기 트립. |
계통 고조파에 의한 전류상승 시 억제 대상고조파에 대해 유도성을 부여하는 직렬리액터를 설치한다. 콘덴서 정전용량을 확인한다. | |
이상음 | 청각 | 콘덴서는 이상음이 없을 것. 리액터는 진동이 소음으로 확대되는데 평상시와 다른 음이 발생되지 않을 것. |
이상음 | 증착전극 콘덴서 ; 이상음시 신품으로 교체한다(메탈리콘부위 열화) 박전극 콘덴서 ; 콘덴서 외 다른 곳의 이상음 발생을 확인한다. |
|
온도상승 | 적외선 온도계 | 콘덴서 케이스 윗면 중앙에서 65℃ 이하. | 온도상승 | 주외온도를 평균 35℃ 이하로 관리. 과전압 및 고조파등에 의한 전압상승은 이에 대한 원인 진단 후 대책을 수립한다. (전문업체에 의뢰) | |
PNL’ 정리 정돈 | 육안 | 먼지등 이물질이 없이 청결할 것. 조작 및 제어 케이블이 잘 정리되어 있을 것. 절연 이격거리가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 |
절연불량 단락 |
진공청소기등을 사용하여 청결하도록 청소를 실시한다. 케이블 타이를 이용 정리한다.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한다. |
|
정기점검 | 정전용량 [F] | 정전 용량계 | 정격 값에 대해 -5% ~ +10% 이내일 것. 상불평형은 최대/최소비가 108% 이하 |
정전용량 불량 | 유전체 절연파괴에 따른 정전용량 불량일 경우엔 신품으로 교체한다. |
절연저항[㏁] | 1000V 절연 저항기 | 단자일괄하여 단자 – 외함간에 DC 1000 V 절연저항기로 측정한 값이 중, 저압용 ; 500 [㏁] 이상 고압 및 특별고압용 ; 1000 [㏁] 이상 |
절연저항 불량 | 애자를 깨끗이 청소한 후 재측정하며 그래도 절연이 나쁠경우 신품으로 교환한다. 날씨가 흐린날 측정은 피한다. |
|
보호장치 동작 | 접점 동작유무, 단자대 포인트에서 단락 또는 개방 | 보호장치가 확실히 동작할 것 | 보호장치 동작 불량으로 차단기 미개방. | 시퀀스 확인 N C S 접점 확인 N V S 테스트 |
|
차단기 동작 | 동작 시험 | 시그널에 의해 확실히 동작 할 것. | 차단기 동작 불능 | A/S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