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용 콘덴서의 절연진단

전력용 콘덴서의 절연진단 항목별 측정 목적과 특징 그리고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 전력용콘덴서의 절연진단?

절연진단 항목 측정목적 특징과 문제점
정전용량 용량변화로 내부 이상유무를 확인 박전극(고압 및 특별고압) 콘덴서의 경우 유전체 절연이 열화되면 (내부회로구성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정전용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내부 직렬소자의 단락에의한 용량증가로 고장이 진행된 것이다.
증착전극(중, 저압) 콘덴서는 열화가 진행되면 전극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정전용량 역시 함께 감소하게 되는데 이역시 절연열화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한다.
절연저항 유전체 절연물의 오손 열화등에 의한 경향을 파악하여 이상유무를 판정한다. 콘덴서 유전체는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열화진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단, 방전저항이 내장되어 있는 콘덴서는방전저항 값에 의해 확인이 불가하게 된다.
선로와 대지간의 간단한 절연측정으로 절연불량유무를 쉽게판단 할 수 있으나 콘덴서는 온도의존성(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절연저항이 떨어지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판단에 주의를 필요로하게 된다.
손실 유전체 열화 판정 규정값 이상으로 손실이 측정되거나 고온, 저 전압에서 손실이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면 열화가능성이 매우 크다.
주위 환경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손실 측정값 하나만으로 현지에서의 판단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설치장소 현장에서의 측정은 여러면에서 제약을 받게된다.
미세한 부분까지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도상승 손실증가와 함 께 온도상승의 측정으로 유전체 열화 판정 열화의 유무판정이 비교적 쉽다.
주위 온도의 영향으로 측정 값이 변동한다.
정기적으로 계속해서 측정해야 된다.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절연내력(내전압) 절연내력 검증
장기 신뢰성의 확인
합부의 판정이 가장 명확하다.
시험에 있어 대용량의 시험설비 및 시험전원이 필요하다.
정격이상의 시험전압으로 인해 열화가 촉진되고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 (비파괴 시험으론 부적합)
부분방전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전기적, 음향적으로 검출하여 이상을 확인 부분방전 개시전압의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엔 유전체의 열화로 판단한다.
외부의 노이즈 영향이 크므로 현지에서의 적용이 곤란하다.
시험을 현지에서 실행키 어렵다.
유중분해가스 분석 가스성분과 양으로 열화원인과 정도를 추정한다. 부형(缶形) 콘덴서는 부적당하다. (채유가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