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기술과 신뢰의 기업 삼화엔지니어링

기술자료실

  • All
  • 궁금한 콘덴서
  • 기타자료
  • 매뉴얼
  • 뱅크도면
  • 시공갤러리
궁금한 콘덴서

선간 단락 전류, 선간 단락 시 역률 그리고 선 전압

선간 단락 시 선간 단락 전류의 크기 역률 그리고 선 전압의 확인이 필요하고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의 존재 여부 역시 확인이 필요하다. 예시는 아래와 같으며 아래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의 일반적 고장 항목에 대한 원인

부하역률 및 전압강하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전력용 콘덴서의 일반적 고장 항목에 대한 원인에 대해 아래와 같이 기술한다. 아래 기술 내용은 콘덴서의 통상적 고장 형태로 이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의 일상 점검과 정밀 점검 그리고 이상 발생 시의 조치 방법

부하역률 개선 및 전압강하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전력용 콘덴서의 일상 점검 그리고 정밀 점검과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사고 발생 조치 방법에 대해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3상 단락 전류와 1선 지락 전류

산업 단지 내 배전 선로 사고 시 사고에 따른 대책 수립을 위해선 사고 지점의 단락 전류와 지락 전류 크기를 알아야 한다. 하여 아래와 같이 살펴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저압 전력용 콘덴서 알람 조치 가이드

■. 저압 전력용 콘덴서 계전기 작동에 따른 알람 조치 가이드? 저압 전력용 콘덴서에 적용하는 보호 계전기의 작동에 대해 알람 원인 및 조치 방법에 대해 아래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ABB 능동형 고조파 필터 (PQactiF)

ABB의 ‘능동형 고조파 필터(Active Harmonic Filter)’는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전력 품질을 개선하고 전기 설비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첨단 장비로 세계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류 고조파의 왜곡 ‘THD’와 ‘TDD’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와 ‘Total Demand Distortion (TDD)’는 모두 전력 시스템에서 고조파 왜곡을 측정,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전력 품질을 분석할 때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며, 그러나 각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모델 명 ; PQFI  1. 고조파 필터의 필요성.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지속적 기술 성장과 생(省)에너지의 필요에 따라 인버터, 위상제어 장치, 정류기, UPS, DC 컨버터 등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고압 콘덴서 조치 가이드

■. 전력용 고압 콘덴서 계전기 작동에 따른 알람 조치 가이드? 3.3kV 그리고 6.6kV 회로 전력용 고압 콘덴서에 적용하는 보호 계전기의 작동에 대해 알람 원인 및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콘덴서 불 평형 고장전류

■. 2중 성형회로 고압 전력용콘덴서 불 평형 고장 시 중성점 간에 흐르는 고장 전류의 크기? 2중 성형회로로 구성된 고압 전력용콘덴서의 고장 보호 방식으로 과전류(O C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 전력손실 경감율

■. 전력용 콘덴서 설치에 따른 전력손실 경감율은? 전력 손실은 부하전류 제곱에 계통 저항의 곱으로 나타난다. 부하전류의 증 감은 계측을 통해 쉽게 금방 확인이 가능하나 계통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 고장전류

■. 전력용 콘덴서 고장 시 선로 측 고장 전류의 크기는? 전력용 콘덴서도 여타 전력 설비와 마찬가지로 전원 측에서 바라보면 부하 설비이다. 하여 이 역시 보호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3상 단락 전류

■. 배선용 차단기 MCCB 용량 선정을 위한 3상 단락 전류 계산? 저압 배전선로 차단기 용량 선정을 위해서는 3상 단락 전류의 크기를 알아야 한다. 조건이 아래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 설치 효과?

■. 전력용 콘덴서 설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선로 및 변압기 손실을 줄여주므로 소비전력(kWh)을 저감시킨다. 2) 무효전류 및 유도성 리액턴스를 감소시키므로 선로 전압강하를 개선한다. 3) ...
Read More →
시공갤러리

고압 전력용 콘덴서 설치공사

부하 역률 개선용 고압 전력용 콘덴서의 철거 및 설치 공사 전력 진단 → 모의 → 설계→ 제작 설치 → 시운전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한국전력공사 기본공급약관 시행세칙 43조 역률 요금 개정 사항

한국전력공사의 기본 공급 약관 시행세칙 43조 역률에 따른 요금의 추가 또는 감액이 2025년 2월 01일 부로 2012년에 이어서 또 개정된다. 전기 인의한 사람으로써 소비자 의견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직렬 콘덴서

■. 장거리 송전 선로 전압 강하 개선의 조치 일환으로 송전 계통의 안정도 향상을 위해서 또한 루프 계통의 조류 분포 제어를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송전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아크로의 콘덴서 뱅크 고조파 대책?

■. 아크로 역률 개선용 콘덴서 뱅크의 경우 고조파 억제 대책으로 직렬리액터를 설치하는데 이때 직렬리액터 리액턴스 선정에 주의가 필요하다. 아크로의 주 고조파 발생원은 제3차 고조파가 된다.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차단기 용량 선정

■. 2대의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선로에 개소별 차단기 용량 선정과 변압기 2차 배전선로에서의 차단기 용량 선정 결과를 살펴본다. 조건은 아래와 같다. ◈. 차단기 용량?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고조파 전류 흐름의 이해 및 직렬공진과 병렬공진

■. 고조파 해석에 있어 고조파 전류는 부하 측에서 전원 측으로 흐른다로 해석한다. 즉 고조파는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수용가 측의 비선형 부하는 고조파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페란티현상에 따른 진상역률 문제?

■. 일반적인 송, 배전 계통의 부하는 대부분 코일성분이어서 부하가 걸려 있게 되면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뒤지게(Lagging) 된다. 송, 배전 선로나 변압기의 임피던스에(R + jX) 뒤진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자기여자 현상에 따른 콘덴서 고장

■. 유도전동기 부하 역률을 개선코자 전력용 콘덴서를 아래 그림과 같이 병렬 결선해 사용한다. 저압 유도 전동기는 모든 현장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해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3상 단락전류 & 단락용량 계산

■. 차단기 용량선정 및 보호 계전기 정정을 위해서는 전력 계통에 3상 단락전류의 크기를 알아야한다. 3상 단락이란 평형고장으로 옴법 그리고 퍼센트임피던스법 또는 PU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고압 및 특별고압 그리고 중저압 전력용 커패시터의 절연유 시험성적서

■. 폴리염화비페닐류(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중 하나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및 도로법 등 관계 법령에 정해져 있는 기준 등을 준수하여 PCBs 함유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고압(6.6kV or 3.3kV) 회로의 콘덴서 뱅크보호 방식

■. 중성점 전압검출 N V S(Neutral Voltag Sensor) 보호 방식 6.6kV or 3,3kV 고압 회로의 콘덴서 보호 방식 중 신뢰성이 가장 우수한 방식이 된다. 콘덴서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비접지 방식의 1선 지락 사고

■. 비접지방식 1선 지락사고 어느 한 상이 지락 되면 지락 상과 대지는 등 전위가 돼 고장 상의 대지 정전용량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때 지락전류는 건전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 모델 명 ; PQFM 1. 고조파 필터의 필요성.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지속적 기술 성장과 생(省)에너지의 필요에 따라 인버터, 위상제어장치, 정류기, UPS, DC 컨버터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콘덴서 뱅크 보호방식

■. 오픈 델타 보호 방식 콘덴서 뱅크 보호 방식 중 오픈 델타 보호 방식은 주로 특별 고압 라인의 소, 중 용량 콘덴서 뱅크에 적용한다. 콘덴서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1선 지락 고장

■. 무부하 발전기 고장계산에서 1선지락 시 직접접지 계통의 지락전류 크기를 알아본다. – 조건. a 상 지락이므로 a 상전류 = 지락전류 Ig가 된다. b 상 c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콘덴서 뱅크 보호방식

■. 전압 차동보호 방식? 콘덴서 전압 차동 보호 방식은 주로 특별 고압 라인의 대용량 콘덴서 뱅크에 적용한다. 콘덴서 구성은 비접지 Y 결선으로 여기 상별 콘덴서에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콘덴서의 직, 병렬 회로 계산

콘덴서 고유 용량인 정전용량(커패시턴스) C를 직렬 또는 병렬 접속할 때 결과 해석은 저항의 접속과 반대로 해석하면 된다. 합성 정전용량 값도 저항과 반대로 콘덴서에 인가 및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자동 역률 조정 콘덴서 뱅크?

역률은 부하와 연동돼 움직이므로 부하량 변화가 큰 산업현장은 역률 변동 폭이 커지게 된다. 그렇다 하여 역률이 반드시 부하량에 정비례해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부하 운전에 의해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대형 모터 운전 시 발생한 전압강하 크기는?

대형 모터를 운전할 때 무효전력 증가에 따른 부하전류 상승으로 큰 폭의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부하단 측 모선의 전압강하가 크게 발생하면 전압손실이 커져 여러 장해(Trouble)가 나타나게 ...
Read More →
시공갤러리

6.6kV 고압 커패시터뱅크 설계 제작

OOOO발전 부하 역률개선용 고압 커패시터뱅크 모의 설계 제작 시운전의 건. ◆. 수행 업무– 6.6 kV 계통 자료 수집– 분석 및 계통모의 – 설계 제안서 제출–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수전단 측 정격전압 유지를 위한 발전단 측 전압은?

전압을 전송할 때 선로 임피던스로(Z=R+jX) 인해 그 임피던스 크기에 비례한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발송 전압이 온전히 수전단 측에 전송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선로 전압강하로 인해 수전단 ...
Read More →
2
시공갤러리

고압 커패시터 뱅크 고장 대책 수립 수행의 건

OO랜드 고압 커패시터뱅크 고장에 따른 현장 진단 및 대책 수립 수행의 건 ◆. 규격 및 수량 ; 6.6 kV 3 P 60 Hz 250 kvar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압강하 개선에 필요한 콘덴서 용량?

송, 배전 선로의 전압강하 Vd(Voltage Drop) = IZ에 의해 발생한다. 즉 부하전류와 선로임피던스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부하전류와 선로임피던스가 크면 그 전압강하 크기역시 그에 비례해 커지게 ...
Read More →
시공갤러리

자동역률 조정 콘덴서반 설치 시운전

제조사 공장 시험 현장 운반 열반 및 설치 체크 설정 및 시운전 제조사 공장 시험 Power Capacitor 외관 검사. (Test 수량 = 87EA) Power Capacitor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고압 및 특별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제작 공정.

◈. 고압 및 특별고압 진상용 콘덴서 전압강하 및 부하 역률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름 권회형 콘덴서인 고압 및 특별고압 진상용 콘덴서가 어떻게 만들어 지고 있는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저압 진상용 콘덴서의 제조 공정 오픈

전압강하 및 부하 역률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름 권회형 콘덴서인 저압진상용 콘덴서가 어떻게 만들어 지고 있는지 사용자 입장에서 많이 궁금해 한다. 하여 관련된 각 공정별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6% 직렬리액터와 13% 직렬리액터 함께 사용시 문제점

동일 변압기 2차에 6% 직렬리액터와 13% 직렬리액터를 함께 사용할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 직렬리액터 6% & 13% 함 께 사용?   5.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직렬리액터에 의한 커패시터 단자전압 상승

◈. 직렬리액터에 의한 콘덴서 단자전압 상승? 고조파 전류와 돌입전류 억제를 위해 커패시터 전단에 직렬로 리액터를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직렬리액터는 커패시터로 유입되는 고조파 및 돌입전류를 억제시키기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변압기 보상용 콘덴서의 고조파 확대

◈. 변압기 보상용 콘덴서의 고조파 확대? 변압기 철심의 자화특성은 아래와 같은 대칭으로 비선형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a)와 같은 정현파 자속을 만들어 내는 여자전류는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능동형 고조파필터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380-220V 3상 4선 전용의 능동형 고조파필터모델 명 ; PQFS Harmonic filtering efficiency 1. 고조파 필터의 필요성.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지속적 기술 성장과 생(省)에너지의 필요에 따라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압강하 개선

수전단 측 전압강하는 무효전력을 제어함으로 개선할 수 있다. – 사용전력 = 24 MW – 부하역률 = 88.40 % – 콘덴서 설치 용량 = 4.8 MVAR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 (파워 커패시터) 그리고 특수용 콘덴서

부하 역률개선과 부하 측 전압강하 개선에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설비가 전력용 콘덴서(파워 커패시터)다. 그리고 안전과 부하요구에 따른 특수용콘덴서가 있다. 이들의 역할과 특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유효전력 손실과 무효전력 솔실 그리고 송전단 전압?

전력을 공급할 때 송전선로엔 유효전력 손실과 무효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부하 측 정격전압 유지를 위해선 선로 전압강하를 고려한 송전단 전압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를 얼마로 해야할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능동형 고조파 필터 필터링 전, 후 비교 Graph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 계통 투입에 따른 필터링 전, 후 비교 Graph. (P Q F S) 1. 라인전압 Graph 2. 부하전류 Graph 3. 중성선 전류 확대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계통의 고조파와 유도성, 용량성 리액턴스에 따른 공진개념 그리고 콘덴서뱅크의 고조파 분류율

■ 계통 임피던스에 의한 공진 발생개념 ■ 고조파에 대한 용량성 리액턴스 그리고 유도성 리액턴스의 관계 ■ 전원 측 그리고 콘덴서 측의 고조파 분류율 ◈. 콘덴서 ...
Read More →
TL1
시공갤러리

능동형 고조파필터 설치, 시운전 및 비교평가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용콘덴서 폭발에 따른 전체 정전사고

■. 문제점 1). 콘덴서로 유입되는 개폐 돌입전류 대책 미비. 2). 개별 병렬콘덴서 단기소자 1개 고장시 고장전류가 과전류 계전기를 동작시키지 못함. 3). 야간 무부하시 콘덴서가 투입됨 ...
Read More →
매뉴얼

BELUK_en_Product Catalogue(CX-plus, CX-eco)

  → 자료 다운로드  
Read More →
HD1
시공갤러리

자동역률제어반 직렬리액터 & 방전코일 공장 검수(Inspection)

Read More →
HDC5
시공갤러리

자동역률제어반 전력용콘덴서 공장 검수(Inspection)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무효전력과 전압강하의 관계 & 유효전력과 E- V의 상차각과의 관계는?

◈. 무효전력과 전압강하의 관계 & 유효전력과 E-V 상차각의 관계? 송전선로에서 무효전력이 증가하면 전압강하는 어떻게 되는지 이 둘의 관계와 더불어 유효전력은 동기발전기의 기전력과 수전단 측 단자전압의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역률개선 수전단 전압상승

◈. 역률개선에 따른 부하단 전압상승은? 역률을 개선하면 전압강하가 개선 돼 수전단 전압이 상승한다. 열량과 토크는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부하 측 전압강하 개선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진상역률 대책

◈. 진상역률 대책. 1). 전원 측 송전선로에서의 진상(앞선)역률은? 페란티 효과(Ferranti Effect)에 의해 발생한다. 페란티 현상은 송전선의 정전용량(Capacitance)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단위길이당 정전용량이 클수록, 선로의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고조파 필터

◈ ABB 능동형 고조파필터 PQFM 모델   ◈ 고조파 필터 투입에 따른 전류왜형율 추이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고조파 직렬공진 개선 사례

L C 직렬회로에서 리액터 선정이 잘 못 될 경우 특정차수 고조파에서 직렬공진이 일어난다. 이러한 공진현상은 콘덴서에 큰 과대 전류를 유입시켜 콘덴서 및 리액터를 고장나게 하고 ...
Read More →
궁금한 콘덴서

전력손실과 역률의 관계

전력용콘덴서를 설치하여 부하역률을 개선시키면 전력손실이 경감돼 아래와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 전력 손실율과 역률과의 관계 外 ? ◇. 선로조건이 동일할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