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용콘덴서 불 평형 고장전류

■. 2중 성형회로 고압 전력용콘덴서 불 평형 고장 시 중성점 간에 흐르는 고장 전류의 크기?

2중 성형회로로 구성된 고압 전력용콘덴서의 고장 보호 방식으로 과전류(O C R) 방식만을 사용하면 이는 응답시간(Response time)이 늦어 콘덴서 전용 차단기의 개로가 늦어 진다.
이렇게 차단기 개로가 늦어지면 콘덴서 고장은 이미 확산한 상태여서 2차 사고 파급 확대로 피해는 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예방을 위해 차단기의 신속한 개로가 필요한데, 이에 최적화된 장치가 N C S(Neutral Current Sensor) 이다.
N C S는 콘덴서 내부 소자를 Double Y 결선하여 이 Y 결선 중성점 간에 고장전류 검출 코일을 삽입 콘덴서 내부 소자 고장 시 중성점 간에 나타나는 고장 전류에 의해 코일이 여자 돼 내부 접점이 동작 하므로 차단기를 개로 시키는 방식이다.
이는 응답시간이 빠르고 신호가 정확해 콘덴서 고장에 따른 2차 확대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하여 이때 콘덴서 내부 고장 형태에 따른 중성점 간의 고장전류 크기를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 2중 성형 중성점간 전류검출방식의 소자 고장시 중성점간 전류 및 고장상 측 선전류.

1. 내부 소자(Element) 절연파괴시 중성점 간 전류 In ?

 

2. 2중 성형 내부 결선 방식에 따른 소자 고장시 중성점간 전류 및 고장상 측의 선전류?

 

3. 고장 전류 경로

상기 그림은 3.3kV & 6.6kV 150kvar 이상의 고압진상용 콘덴서에 사용 중인 NCS Type의 내부결선이다. 이 2중 성형의 중성점 간에 전류 검출코일을 삽입하여 콘덴서 내부 고장시 삽입 코일이 여자됨으로써 동작되는 접점을 내장한 것이다. 정상 상태에선 중성점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에 접점이 동작되지 않으나 어떤 원인에 의해 내부고장이 발생되면 두 중성점 간엔 불평형 전류가 흘러 코일이 여자되고 접점이 동작하게 된다.
고장시 한상의 소자가 완전 단락되면 고장상의 선전류는 정격의 3배가 되고 건전한 상은 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