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기술과 신뢰의 기업 삼화엔지니어링
기술자료실
- 궁금한 고조파 & 콘덴서 및 무효전력 제어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 현상 방지 대책?
11월 21, 2013
댓글 없음
유도전동기 역률개선용으로 사용되는 콘덴서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설계 단계에선 아래와 같이 콘덴서 설치를 권장하는데 무효분 증가에 의한 차단기 용량, 기동 전류, 전선용량 여유분 등에 문제가 ...
Read More →
콘덴서 투입시 모선 순시전압강하 및 돌입전류 모의(Simulation)?
11월 19,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투입시에 순시전압강하 및 개폐 돌입전류가 발생한다. 이 때 순시전압강하 때문에 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응용 전기기기가 전류(轉流) 및 제어 실패를 일으키는데 이 순시전압강하는 직렬리액터의 ...
Read More →
콘덴서 뱅크 전압차동 보호 방식
11월 15, 2013
댓글 없음
한국전력공사 등과 같이 대전력을 사용하는 전력처 특별고압 모선 콘덴서 뱅크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보호 방식이다. 이방식은 대용량 고전압으로 내부소자 구성이 여러개 Element로 구성된다. 이 중 ...
Read More →
콘덴서 뱅크의 오픈델타 보호 방식
11월 15,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 뱅크 보호 방식엔 이상검출 방법에 따라 기계적인 방법 전기적인 방법 두가지로 구분한다. 그 중 전기적인 방법 중 하나인 오픈델타 보호 방식은? 각 상 ...
Read More →
NVS System?
11월 15, 2013
댓글 없음
NVS(Neutral Voltage Sensor) System Cubicle Type의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Read More →
직렬리액터 6% & 13% 병행?
11월 12, 2013
댓글 없음
하나의 회로에 6% 직렬리액터와 13% 직렬리액터를 함 께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고조파 흐름에 대해 살펴본다.
Read More →
직렬리액터에 의한 콘덴서 전압 상승?
11월 10,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회로에 고조파 및 돌입전류 억제 목적으로 직렬리액터를 설치하는데 이 때 직렬리액터에 의거 콘덴서 단자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전력용 콘덴서의 경우 24시간 연속 허용 과전압 범위가 ...
Read More →
자동역률제어 콘덴서 뱅크
11월 7, 2013
댓글 없음
한전 역률 요금제도 변경으로 진상역률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진상 역률도 지상 역률과 마찬가지로 공급설비가 커지는 등 같은 손실로 이어지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진상역률은 페란티현상에 ...
Read More →
변압기 무효전력 보상용 콘덴서?
11월 2, 2013
댓글 없음
변압기 여자전류는 대부분 무효분으로 변압기 용량의 3~5%가 된다<여자분 = 철손(유효)+j자화분(무효)> 변압기 무효분 보상을 위해 콘덴서를 사용하는데 콘덴서에 원인불명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고장엔 여러가지가 원인이 ...
Read More →
콘덴서 설치점의 전압상승?
11월 1, 2013
댓글 없음
부하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설치하면 설치점에서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선로 조건 및 콘덴서 설치용량에 따라 전압상승 값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얼마 만큼의 전압이 상승되는지? 이에 대해 ...
Read More →
돌입전류 및 고조파 전류 유입에 의한 콘덴서 폭발사고?
10월 16, 2013
댓글 없음
직렬 리액터는 돌입전류 및 고조파 전류 억제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덴서보호 설비이다. 개폐 빈도가 잦은 곳, 고조파 발생원이 존재하는 회로에선 직렬리액터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콘덴서 사고와 ...
Read More →
콘덴서뱅크 지락사고에 의한 전체정전
10월 16,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단자 부 접속불량으로 인한 지락사고 발생 현장. 이 때 중성점 전압검출장치 케이블 단선으로 보호장치가 동작되지 않아 공장 전체 정전으로 크나큰 손실이 발생하였다.
Read More →
고조파 공진에 의한 콘덴서 사고?
10월 15, 2013
댓글 없음
모터 역률개선용으로 사용 중이던 콘덴서가 고조파 공진으로 인해 폭발된 사고 현장? 사고 조치(대책수립) 후 현재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Read More →
직렬공진 개선?
10월 14, 2013
댓글 없음
부하역률 개선용으로 설치, 사용 중이던 전력용 콘덴서 뱅크의 과전류 및 이상소음 문제와 관련하여 대책수립에 대한 수용가측 요청이 있었다. 현지 출장 원인조사 결과 직렬공진으로 이에 따른 ...
Read More →
콘덴서 뱅크의 고조파 흡수 효과?
10월 12, 2013
댓글 없음
고조파 억제 대책 기술지침 JEAG 9705-1995에 따르면 콘덴서는 고조파 흡수효과가 매우 높다로 돼있다. 직렬리액터 설치 유 무와 직렬리액터 리액턴스 크기에 따라 또한 전원측 단락 용량 ...
Read More →
콘덴서 뱅크의 고조파전류 개선?
10월 11, 2013
댓글 없음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때문에 콘덴서 뱅크의 잦은 Trouble로 정상 운전이 불가하여 Engineering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Engineering을 통해 계통과 부합된 System 설계로 콘덴서 뱅크는 안정화 되었다 ...
Read More →
NVS보호 방식의 단기콘덴서 정격 변경에 따른 검토?
10월 10, 2013
댓글 없음
콘덴서사용 중 단기콘덴서 고장으로 인해 뱅크운전이 중단 될 때 Main 역률을 규정 값이내로 유지하기 위해선 콘덴서뱅크 정상화가 필요하다. Spare 品 중 정격과 상이한 제품이 있다면 ...
Read More →
중성점 불평형 전압 검출장치(N.V.S)?
10월 8,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는 과전압, 과온, 고조파, 개폐Surge 등 Stress에 의해 고장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때는 콘덴서를 선로로부터 신속히 분리 고장에 따른 2차 확대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이에 ...
Read More →
저주파 유도로에 사용하는 콘덴서?
10월 7, 2013
댓글 없음
저주파 유도로와 같은 대용량 단상부하에 3상전원으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 3상 불평형이 된다. 이 때 콘덴서와 리액터를 사용 무효전력을 제어하면 3상 평형을 이룰 수 있는데 이에 ...
Read More →
콘덴서 정전용량 측정?
10월 6, 2013
댓글 없음
정전용량 C[F] 콘덴서 양단에 주파수f[Hz]인 전압V[V]를 인가할 경우 이 때 콘덴서 임피던스 Zc = 1/2πfC[Ω]으로 전류 Ic = V/Zc로 2πfCV[A]가 된다. 그러므로 진상용량 Qc = ...
Read More →
평균역률?
10월 5, 2013
댓글 없음
부하가 각각 분산되어 있는 Main측 역률은 각 Feeder별 역률을 평균하여 알 수 있는 게 아니다. 이에 대해 알아본다.
Read More →
콘덴서 설치에 따른 전류 변화?
10월 4,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는 역률을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진상무효전력 발생원이 된다. 이 콘덴서를 어느지점에 설치하냐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얻을 수 있는 이득 역시 차이가 있게 된다. ...
Read More →
변압기 동손 경감?
10월 3,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설치로 역률을 개선하면 부하전류가 감소돼 변압기 부하손인 동손을 낮출 수 있다. 변압기 손실은 부하손인 동손(Copper Loss)과 무부하손인 철손(Iron Loss)으로 구분되는데 부하손 = (표류부하손+권선 저항손) ...
Read More →
콘덴서 설치에 따른 선로손실 경감?
10월 2, 2013
댓글 없음
동일한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부하에 콘덴서를 설치하면 역률은 Θ₁에서 Θ₂로 개선되고 선로전류 I₁= IR / cosΘ₁은 I₂= IR / cosΘ₂로 감소돼 선로 손실을 낮출 수 ...
Read More →
고조파 역률?
10월 1, 2013
댓글 없음
비선형 부하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전력계통은 그렇지 않은 계통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조파전류 발생이 증가한다. 이러한 고조파 전류 증가는 파형 왜곡을 심화시키고 전류왜형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낳게 ...
Read More →
부하량 증가에 따른 역률?
9월 29, 2013
댓글 없음
부하 변동이 없는 상태에서 콘덴서가 과대하게 투입되었다면 진상역률을 살펴봐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선로에 투입된 콘덴서 용량 변동없이 부하량이 증가했다면 이때는 저 역률에 대한 확인이필요하다. 목표 ...
Read More →
콘덴서 투입에 따른 역률변화?
9월 28, 2013
댓글 없음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하 역률을 100%로 유지하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은 100%유지가 불가하므로 지상역률 95%이상을 목표로 관리하게 된다. 역률 100%를 유지코자 무작정 콘덴서를 투입하다 ...
Read More →
콘덴서에 의한 공급설비 여유분 증가?
9월 27,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 설치로 무효분을 감소시켜 공급설비의 여유분을 증가시키는 것은 크나큰 장점이 된다. 역률이 낮은 부하에 콘덴서 설치만으로 변압기 교체없이 부하를 증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
Read More →
콘덴서 직, 병렬 접속 및 분류 & 분압?
9월 25,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직, 병렬 접속에 따른 용량 및 분류 분압된 전압 전류의 계산에 대해 알아보자?
Read More →
콘덴서 용량 계산?
9월 24, 2013
댓글 없음
부하역률 개선에 필요한 콘덴서 용량 계산에 대해 풀어본다. 역률 개선이라 함은 유도성부하의 지상 무효분을 용량성인 콘덴서 진상무효분이 상쇄시킴으로 피상분이 감소돼 역률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정지형 ...
Read More →
벡터(페이저) 오퍼레이터?
9월 23,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역시 다른 전기회로와 마찬가지로 고장해석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선 이와 관련된 연산자 a의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만 고장시의 전압, 전류 및 중성점 불평형등 3상회로 ...
Read More →
복소수 j ?
9월 22, 2013
댓글 없음
교류의 전기현상을 수(數)로써 평면적 해석을 하는 것이 복소수다. 허수라는 수를 사용함으로 백터의 도식 좌표와 함께 좌표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양(量)의 기호를 붙여 쉬운 가감승제로 ...
Read More →
교류전력 및 역률 & 복소전력?
9월 21, 2013
댓글 없음
교류전력(Alternating Current Power)은 단위 시간당 에너지[W]로써 우리 실 생활에 사용되는 전기가 직류라면 이의 해석은 매우 간단해진다. 그런데 우리 실 생활에서 사용하는 전원은 교류전원이 주를 이루고 있고 주파수라는 놈으로 ...
Read More →
R-L-C 수동소자의 위상?
9월 18, 2013
댓글 없음
부하 역률개선용으로 사용하는 전력용 콘덴서를 이해하기위해 R-L-C 수동소자의 위상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①. ELI -> L만의 회로에선 전압이 전류보다 위상이 90도 앞선다. ②. ICE -> ...
Read More →
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제조 및 한국산업규격 KS C 4802?
9월 17, 2013
댓글 없음
고압 진상용 콘덴서 제조공정의 흐름 및 이와 관계된 한국산업규격 KS C 4802에 대해 알아본다. 고압 및 특별고압 대전력용에 사용되는 NH(Non-Self Healing) 콘덴서는 박전극 콘덴서라 불리며 ...
Read More →
저압진상용 콘덴서의 제조공정 흐름 및 한국산업규격 KS C4801 ?
9월 17, 2013
댓글 없음
저압진상용 콘덴서 제조공정의 흐름 및 이와 관계된 한국산업규격 KS C4801에 대해 알아본다. 저압진상용 콘덴서의 유전체로 사용하는 증착필름은 스스로 자기회복을 하기에 SH(Self-Healing)콘덴서라 한다. 예전엔 이 유전체의 ...
Read More →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 현상 방지 대책?
11월 21, 2013
댓글 없음
유도전동기 역률개선용으로 사용되는 콘덴서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설계 단계에선 아래와 같이 콘덴서 설치를 권장하는데 무효분 증가에 의한 차단기 용량, 기동 전류, 전선용량 여유분 등에 문제가 ...
Read More →
콘덴서 투입시 모선 순시전압강하 및 돌입전류 모의(Simulation)?
11월 19,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투입시에 순시전압강하 및 개폐 돌입전류가 발생한다. 이 때 순시전압강하 때문에 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응용 전기기기가 전류(轉流) 및 제어 실패를 일으키는데 이 순시전압강하는 직렬리액터의 ...
Read More →
콘덴서 뱅크 전압차동 보호 방식
11월 15, 2013
댓글 없음
한국전력공사 등과 같이 대전력을 사용하는 전력처 특별고압 모선 콘덴서 뱅크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보호 방식이다. 이방식은 대용량 고전압으로 내부소자 구성이 여러개 Element로 구성된다. 이 중 ...
Read More →
콘덴서 뱅크의 오픈델타 보호 방식
11월 15,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 뱅크 보호 방식엔 이상검출 방법에 따라 기계적인 방법 전기적인 방법 두가지로 구분한다. 그 중 전기적인 방법 중 하나인 오픈델타 보호 방식은? 각 상 ...
Read More →
NVS System?
11월 15, 2013
댓글 없음
NVS(Neutral Voltage Sensor) System Cubicle Type의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Read More →
직렬리액터 6% & 13% 병행?
11월 12, 2013
댓글 없음
하나의 회로에 6% 직렬리액터와 13% 직렬리액터를 함 께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고조파 흐름에 대해 살펴본다.
Read More →
직렬리액터에 의한 콘덴서 전압 상승?
11월 10,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회로에 고조파 및 돌입전류 억제 목적으로 직렬리액터를 설치하는데 이 때 직렬리액터에 의거 콘덴서 단자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전력용 콘덴서의 경우 24시간 연속 허용 과전압 범위가 ...
Read More →
자동역률제어 콘덴서 뱅크
11월 7, 2013
댓글 없음
한전 역률 요금제도 변경으로 진상역률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진상 역률도 지상 역률과 마찬가지로 공급설비가 커지는 등 같은 손실로 이어지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진상역률은 페란티현상에 ...
Read More →
변압기 무효전력 보상용 콘덴서?
11월 2, 2013
댓글 없음
변압기 여자전류는 대부분 무효분으로 변압기 용량의 3~5%가 된다<여자분 = 철손(유효)+j자화분(무효)> 변압기 무효분 보상을 위해 콘덴서를 사용하는데 콘덴서에 원인불명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고장엔 여러가지가 원인이 ...
Read More →
콘덴서 설치점의 전압상승?
11월 1, 2013
댓글 없음
부하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설치하면 설치점에서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선로 조건 및 콘덴서 설치용량에 따라 전압상승 값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얼마 만큼의 전압이 상승되는지? 이에 대해 ...
Read More →
돌입전류 및 고조파 전류 유입에 의한 콘덴서 폭발사고?
10월 16, 2013
댓글 없음
직렬 리액터는 돌입전류 및 고조파 전류 억제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덴서보호 설비이다. 개폐 빈도가 잦은 곳, 고조파 발생원이 존재하는 회로에선 직렬리액터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콘덴서 사고와 ...
Read More →
콘덴서뱅크 지락사고에 의한 전체정전
10월 16,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단자 부 접속불량으로 인한 지락사고 발생 현장. 이 때 중성점 전압검출장치 케이블 단선으로 보호장치가 동작되지 않아 공장 전체 정전으로 크나큰 손실이 발생하였다.
Read More →
고조파 공진에 의한 콘덴서 사고?
10월 15, 2013
댓글 없음
모터 역률개선용으로 사용 중이던 콘덴서가 고조파 공진으로 인해 폭발된 사고 현장? 사고 조치(대책수립) 후 현재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Read More →
직렬공진 개선?
10월 14, 2013
댓글 없음
부하역률 개선용으로 설치, 사용 중이던 전력용 콘덴서 뱅크의 과전류 및 이상소음 문제와 관련하여 대책수립에 대한 수용가측 요청이 있었다. 현지 출장 원인조사 결과 직렬공진으로 이에 따른 ...
Read More →
콘덴서 뱅크의 고조파 흡수 효과?
10월 12, 2013
댓글 없음
고조파 억제 대책 기술지침 JEAG 9705-1995에 따르면 콘덴서는 고조파 흡수효과가 매우 높다로 돼있다. 직렬리액터 설치 유 무와 직렬리액터 리액턴스 크기에 따라 또한 전원측 단락 용량 ...
Read More →
콘덴서 뱅크의 고조파전류 개선?
10월 11, 2013
댓글 없음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때문에 콘덴서 뱅크의 잦은 Trouble로 정상 운전이 불가하여 Engineering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Engineering을 통해 계통과 부합된 System 설계로 콘덴서 뱅크는 안정화 되었다 ...
Read More →
NVS보호 방식의 단기콘덴서 정격 변경에 따른 검토?
10월 10, 2013
댓글 없음
콘덴서사용 중 단기콘덴서 고장으로 인해 뱅크운전이 중단 될 때 Main 역률을 규정 값이내로 유지하기 위해선 콘덴서뱅크 정상화가 필요하다. Spare 品 중 정격과 상이한 제품이 있다면 ...
Read More →
중성점 불평형 전압 검출장치(N.V.S)?
10월 8,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는 과전압, 과온, 고조파, 개폐Surge 등 Stress에 의해 고장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때는 콘덴서를 선로로부터 신속히 분리 고장에 따른 2차 확대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이에 ...
Read More →
저주파 유도로에 사용하는 콘덴서?
10월 7, 2013
댓글 없음
저주파 유도로와 같은 대용량 단상부하에 3상전원으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 3상 불평형이 된다. 이 때 콘덴서와 리액터를 사용 무효전력을 제어하면 3상 평형을 이룰 수 있는데 이에 ...
Read More →
콘덴서 정전용량 측정?
10월 6, 2013
댓글 없음
정전용량 C[F] 콘덴서 양단에 주파수f[Hz]인 전압V[V]를 인가할 경우 이 때 콘덴서 임피던스 Zc = 1/2πfC[Ω]으로 전류 Ic = V/Zc로 2πfCV[A]가 된다. 그러므로 진상용량 Qc = ...
Read More →
평균역률?
10월 5, 2013
댓글 없음
부하가 각각 분산되어 있는 Main측 역률은 각 Feeder별 역률을 평균하여 알 수 있는 게 아니다. 이에 대해 알아본다.
Read More →
콘덴서 설치에 따른 전류 변화?
10월 4,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는 역률을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진상무효전력 발생원이 된다. 이 콘덴서를 어느지점에 설치하냐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얻을 수 있는 이득 역시 차이가 있게 된다. ...
Read More →
변압기 동손 경감?
10월 3,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설치로 역률을 개선하면 부하전류가 감소돼 변압기 부하손인 동손을 낮출 수 있다. 변압기 손실은 부하손인 동손(Copper Loss)과 무부하손인 철손(Iron Loss)으로 구분되는데 부하손 = (표류부하손+권선 저항손) ...
Read More →
콘덴서 설치에 따른 선로손실 경감?
10월 2, 2013
댓글 없음
동일한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부하에 콘덴서를 설치하면 역률은 Θ₁에서 Θ₂로 개선되고 선로전류 I₁= IR / cosΘ₁은 I₂= IR / cosΘ₂로 감소돼 선로 손실을 낮출 수 ...
Read More →
고조파 역률?
10월 1, 2013
댓글 없음
비선형 부하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전력계통은 그렇지 않은 계통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조파전류 발생이 증가한다. 이러한 고조파 전류 증가는 파형 왜곡을 심화시키고 전류왜형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낳게 ...
Read More →
부하량 증가에 따른 역률?
9월 29, 2013
댓글 없음
부하 변동이 없는 상태에서 콘덴서가 과대하게 투입되었다면 진상역률을 살펴봐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선로에 투입된 콘덴서 용량 변동없이 부하량이 증가했다면 이때는 저 역률에 대한 확인이필요하다. 목표 ...
Read More →
콘덴서 투입에 따른 역률변화?
9월 28, 2013
댓글 없음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하 역률을 100%로 유지하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은 100%유지가 불가하므로 지상역률 95%이상을 목표로 관리하게 된다. 역률 100%를 유지코자 무작정 콘덴서를 투입하다 ...
Read More →
콘덴서에 의한 공급설비 여유분 증가?
9월 27, 2013
댓글 없음
전력용 콘덴서 설치로 무효분을 감소시켜 공급설비의 여유분을 증가시키는 것은 크나큰 장점이 된다. 역률이 낮은 부하에 콘덴서 설치만으로 변압기 교체없이 부하를 증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
Read More →
콘덴서 직, 병렬 접속 및 분류 & 분압?
9월 25,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직, 병렬 접속에 따른 용량 및 분류 분압된 전압 전류의 계산에 대해 알아보자?
Read More →
콘덴서 용량 계산?
9월 24, 2013
댓글 없음
부하역률 개선에 필요한 콘덴서 용량 계산에 대해 풀어본다. 역률 개선이라 함은 유도성부하의 지상 무효분을 용량성인 콘덴서 진상무효분이 상쇄시킴으로 피상분이 감소돼 역률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정지형 ...
Read More →
벡터(페이저) 오퍼레이터?
9월 23, 2013
댓글 없음
콘덴서 역시 다른 전기회로와 마찬가지로 고장해석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선 이와 관련된 연산자 a의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만 고장시의 전압, 전류 및 중성점 불평형등 3상회로 ...
Read More →
복소수 j ?
9월 22, 2013
댓글 없음
교류의 전기현상을 수(數)로써 평면적 해석을 하는 것이 복소수다. 허수라는 수를 사용함으로 백터의 도식 좌표와 함께 좌표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양(量)의 기호를 붙여 쉬운 가감승제로 ...
Read More →
교류전력 및 역률 & 복소전력?
9월 21, 2013
댓글 없음
교류전력(Alternating Current Power)은 단위 시간당 에너지[W]로써 우리 실 생활에 사용되는 전기가 직류라면 이의 해석은 매우 간단해진다. 그런데 우리 실 생활에서 사용하는 전원은 교류전원이 주를 이루고 있고 주파수라는 놈으로 ...
Read More →
R-L-C 수동소자의 위상?
9월 18, 2013
댓글 없음
부하 역률개선용으로 사용하는 전력용 콘덴서를 이해하기위해 R-L-C 수동소자의 위상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①. ELI -> L만의 회로에선 전압이 전류보다 위상이 90도 앞선다. ②. ICE -> ...
Read More →
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제조 및 한국산업규격 KS C 4802?
9월 17, 2013
댓글 없음
고압 진상용 콘덴서 제조공정의 흐름 및 이와 관계된 한국산업규격 KS C 4802에 대해 알아본다. 고압 및 특별고압 대전력용에 사용되는 NH(Non-Self Healing) 콘덴서는 박전극 콘덴서라 불리며 ...
Read More →
저압진상용 콘덴서의 제조공정 흐름 및 한국산업규격 KS C4801 ?
9월 17, 2013
댓글 없음
저압진상용 콘덴서 제조공정의 흐름 및 이와 관계된 한국산업규격 KS C4801에 대해 알아본다. 저압진상용 콘덴서의 유전체로 사용하는 증착필름은 스스로 자기회복을 하기에 SH(Self-Healing)콘덴서라 한다. 예전엔 이 유전체의 ...
Read More →